[학술논문] 해외 한글문학, 그 확산과 치유의 길
...구분에 얽매이지 않고 보다 포괄적이며 활달하게 펼쳐지는 문학적 시야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각기 영역에
한국
문학으로서의 자격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 ‘가부’ 판단이 아니라, 각기 영역에
한국
문학적 요소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가를 따지는 ‘정도’의 측정에 방점이 주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들이 한민족 문학사의 터전에 핀 귀한 꽃무리라면, 이들을 잘 가꾸고그 명맥을 이어가도록 할 막중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
한국
문학’에 있다. 그책임의식으로 한민족 문학 전반을 디아스포라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이 한민족 문화권의 논리와 의미망 가운데로 해방 이래
한국
문학과 궤를 달리할수밖에 없었던 북한문학을 초치하는 일이 모색되어야 한다. 실제적이고 물리적인 남북관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