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한국어・조선어 교재 말뭉치 대조를 통한 어휘적 특징 연구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에서 『조선어:류학생용』의 사용 환경과 통시적 변화 -1968년, 1973년, 1982년, 1991년, 2022년 판본을 대상으로-
[학술논문]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조선어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조선어 교재에서 지시 화행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선어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숙달도 수준에 따라 지시 발화 행위의 유형과 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지시 화행의 유형은 ‘제안’, ‘요구’, ‘명령’, ‘부탁’, ‘권고’, ‘제의’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명령’, ‘권고’처럼 청자의 행위에 대한 요구 정도가 강한 발화가 많이 등장한 것은 북한의 언어관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시 화행 전략의 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직접적...
[학술논문] 북한의 조선어 교재『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분석
... 수 있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활동 간의 유기적 연결이 다소 약하여 단원 주제와 문법 항목 간 응집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본고는 자료 접근이 어려운 북한 교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하고자 각 단원의 실제 예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외국어로서의 자국어 교육 연구에 관심 있는 한국어교육 종사자들에게도 실질적인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북한 조선어교육의 구조와 양상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며 향후 언어교육 비교 및 교재 개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 대한 기본적인 검토,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전제로 삼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의 특징을 상술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에서 살고 있는 시대적 요구로 발음, 어휘, 억양, 화법 분야에 걸쳐 교재가 만들어졌다. 이 교재는 북한이탈주민의 표준어 습득 및 표준어로의 교정에 초점을 둔 언어 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표준 한국어에 대한 교육은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의 문제로만 보고 협소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표준어 습득 및 표준어로의 교정으로 갈 것인가, 남한 사람들의 듣는 귀를 열어 주어 북한이탈주민의 북한어 사용을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할 것인가의 문제는 선택의 문제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 관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