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아스포라의 정치적 경험과 감성의 위치-최인훈 초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작품으로, 정치적 폭력에 대해 불안과 공포를 느끼며 ‘사랑’이라는 감정에 기대어 북한과 남한, 제3세계로 디아스포라한다. 회색인의 독고준은
한국이 근대화되지 않았다는 인식 속에서, 제국의 피식민지인으로 살아가야한다는 공포를 경험하고, 제국의 식민
담론이 강요한 폭력적 전쟁 경험을 개인의 생-체험으로 재인식하려고 노력한다. 이때 사랑의 감정은 근대 국가의 폭력과 위선을 전유하는 탈출구이다. 서유기는 환상여행을 통해 근대 시민의 (무)의식과 생활에 내면화된 식민
담론의 의미를 폭로한다.
근대성에 대한 환상과 그것이 모순적으로 발현되는 정치적 공간(W시)에 대한 환멸감을 ‘부끄러움’으로 전유하면서, 독고준이 경험하는 부끄러움이 다양한 역사적 맥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