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한미일 정상회의 성과와 후속 과제 포괄적 안보 위협과 한미일안보협의체(KOJAUS)의 출범
...인도·태평양에서 도전 세력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군사·외교·경제·기술·자원·에너지 등 다방면에 걸친 포괄적 안보협력을 제도화함으로써 쿼드(서태평양), 오커스(남태평양)에 이어 인도·태평양에서 세 번째 전략 톱니바퀴,
한미일안보협의체(가칭
KOJAUS-코자스, 북태평양)가 고안되었다. 이를 계기로 인도·태평양에서 자유주의 진영의 전략적 공백을 메우고, 동북아에서 안보 체제가 양자에서 다자체제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변화된 위상에 걸맞게 한반도를 너머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책임있는 선도국가의 역할을 수용했다는 점에서 이번 정상회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