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 Political Dynamics of U.S. nonproliferation Policy : the Case of North Korea
...못한 전대미문의 특수한 사례였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비확산 정책의 틀은 1980년대 후반 북한의 핵 개발 의혹이 본격화되면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1990년대 클린턴의 민주당 정부는 북한과의 일대일 협상을 통한 핵 동결로 나아갔고, 뒤이은 부시의 공화당 정부는 초기 강경한 대북 노선을 택하게 된다. 이는 클린턴 정부 당시 체결된 제네바 합의와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이행과정에서 드러난 상호 신뢰형성의 실패에 대한 반작용의 결과였다. 그러나 부시 정부의 정책노선은 클린턴 정부가 취했던 전략과 유사한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는 미 행정부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이 다양한 대내외 인자(influential factor)의 영향과 한계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고 자율적일 수 없음을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