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의 미래전에 관한 연구 : 평시전 개념의 도입과 전시전 양상의 예측
...자율무기체계, 사이버 능력 등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미래전 논의는 전면적 무력충돌에 집중하는 ‘전시전(戰時戰, wartime warfare)’ 중심의 시각에 치우쳐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전략적 행태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전쟁이 평시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평시전(平時戰, peacetime warfare)’ 개념을 새롭게 도입한다. 평시전은 회색지대 분쟁(gray zone conflict)과 유사하지만, 공격 주체나 행위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까지포괄한다는 점에서 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본 논문은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평시전의 양상을 재래식 국지도발, 사이버전, 인지전, 하이브리드전으로...
[학술논문]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을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발전 방향
...방어체계 고도화, 선제적 대응 및 위기관리 능력 강화, 첨단 기술 활용 및 미래전 대비 전략 구축을 핵심 발전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제도화하고 전략자산의 체계적 운용을 강화하며,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와 한미 연합 미사일방어망의 통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기 상황별 대응 시나리오 개발과 연합지휘체계의 효율성 향상, 인공지능(AI) 및 무인체계(UAV 등) 활용, 사이버 및 전자전 역량 강화를 통해 미래 지향적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의 변화 양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보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학술논문] 4세대 전쟁의 한반도 적용 가능성 연구
...한반도의 특수한 안보환경에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하여 올바른 한반도 전쟁준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4세대전쟁’ 이론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쟁양상을 제시하면서 국내・외적으로이목을 집중시켜왔고 특히, 한국의 경우 북한이 지금까지 자행해 온 도발양상과‘4세대 전쟁’ 이론이 제시한 전쟁양상이 유사성을 보이면서 국내에서도 북한의위협 대비와 맞물려 깊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4세대 전쟁’ 개념을 도입하여 북한의 새로운 도발양상에 대한 대비를 촉구하였다. 하지만 ‘4세대 전쟁’에 대한 기존논의를 검토해 본 결과 많은 부분 논리적 과정이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반도에서...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본 연구는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 주된 관심사와 미래전에 대비한 과제를 분석하고 미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주된 논점이 있다. 미국의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은 세계평화와 경제적 번영이라는 세계질서 구축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패권유지라는 기본 틀 안에서 북핵 불용, IS 격퇴, 아시아 재균형 전략, 협력과 경쟁의 대상으로서 중국, 러시아의 패권주의 제동 등이 안보전략의 핵심이다. 대외정책의 기조인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다자기구 그리고 동맹을 통한 분쟁해결을 행동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동북아 국제안보정세를 분석해보면 크게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협력이라는 이중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재래식...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본 연구는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 주된 관심사와 미래전에 대비한 과제를 분석하고 미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주된 논점이 있다. 미국의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은 세계평화와 경제적 번영이라는 세계질서 구축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패권유지라는 기본 틀 안에서 북핵 불용, IS 격퇴, 아시아 재균형 전략, 협력과 경쟁의 대상으로서 중국, 러시아의 패권주의 제동 등이 안보전략의 핵심이다. 대외정책의 기조인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다자기구 그리고 동맹을 통한 분쟁해결을 행동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동북아 국제안보정세를 분석해보면 크게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협력이라는 이중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재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