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대기오염물질 월경에 의한 북한의 코로나 감염 가능성 및 남북한 공동대응
...가능성을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원거리에서 대기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이동 가능성에 관한 해외 학계의 논의를 검토하고, 중국으로부터 북한으로의 코로나 이동 가능성을 논한다. 둘째, 북한 내부에서 형성되는 미세먼지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을 살핀다. 특히, 코로나로부터 가장 안전한 곳으로 간주되는 수도 평양에서 전염병에 취약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확인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북한 당국이 코로나 확진자 발생을 공식 인정하기까지 기다리기보다
한반도
생명
공동체의 차원에서 1) 북한이 신뢰할 수 있는 백신의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한 한국의 외교적 노력, 2)
한반도에서의 각종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남북 공동의 융복합 연구 거버넌스 구축, 3) 한국의 협력 제안에 대한 북한의 적극적 반응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