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동신문』을 통해 본 김정은 정치스타일
...토대로 박근혜 정부의 대북‧통일 정책에 대하여 비전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로동신문』 분석 결과, 북한 김정은 정권은 매스 미디어에 사진과 음악을 이용한 ‘이미지 정치’, 핵과 미사일을 이용한 선군정치(先軍政治), 경제개발 등 3대 정책을 펴고 있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으로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화해협력정책(햇볕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상생공영정책(비핵·개방·3000)’의 장점을 융합한 스마트파워(Smart Power)로서의 ‘대북정책 3C’가 요구되었다. ‘대북정책 3C'라는 것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바탕 위에 화해와...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협력
...목적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3000’과 같이 개점 휴업 상태에 빠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남북간 협력(개성공단, 이산가족문제, 인도주의적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본 논문은 먼저, 남북협력이란 무엇이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서는 남북협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고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인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정부 출범 1년여를 맞이한 박근혜 정부 하의 남북협력을 2013년 동안 불거진 개성공단과 인도적 사안(이산가족문제, 대북지원문제) 등으로 분류해 그 의미, 현황, 과제(전망)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하의 남북협력의 제약요인은...
[학술논문]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 1년 평가와 과제
...부패의 일상화 등이 점증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은 인민생활 향상과 경제발전을 위하여 그 정책적 성과를 내야 한다. 남북관계 개선과 북․중 경제협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남북교류협력의 확대를 통한 상호의존성을 점차적으로 높여나감으로써, 이미 시장화된 북한의 개혁․개방을 촉진하고 북한을 국제사회로 이끌어 내어야 궁극적으로 통일의 지렛대(leverage)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은 평화통일 기반 구축보다 더 적극적인 개념인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언급하면서, “통일은 대박이다”라는 한마디로 통일대박의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그동안 박근혜정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등의 전략을 발표했으나 이를...
[학술논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비핵국가 한국의 핵 안보전략: 제2차 핵시대를 맞이하여
한반도에는 새로운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주장하고 있는 북한과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비핵국가인 한국이 동북아시아의 복잡한 안보역학구도 안에서 제2차 핵시대의 서막을 장식하고 있다. 이미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공개된 비밀로 인정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북한에 대응할 수 있는 핵전력을보유하지 못한 상태에서 북한과의 고도의 핵 전략게임을 전개해야 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본고는 박근혜정부의 신뢰외교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역동적인안보정책을 위한 실천방안으로서 비핵국가의 핵전략 구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여 제2차 핵시대의 한국의 핵외교안보전략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제2차 핵시대의 한반도의 핵안보 상황을 분석하여 비핵국가의 핵전략 도출의필요성을 분석하고 박근혜정부의...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을 촉진하고 만들어 가기 위한 한미양국의 북한 WMD 대응 방안
... 통한 의미 있는 화해를 요구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대북 관여정책의 새로운 변형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정권은 핵무기를 포기할 의사가 전혀 없음을 명백히 하여 왔다. 김정은은 2013년초 미국과 한국에 대해 핵공격을 위협함으로써 한반도의 긴장을 위험한 수준까지 고조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줬다. 비록 북한이 현재 소위 “매력 공세” 단계에 있지만, 북한 정권이 불가피하게 도발로 돌아서는 것은 단지 시간문제일 뿐이다. 김정은이 부친의 정책을 유지하여 왔지만, 좀더 잔인하고, 변덕스럽고, 전망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정책을 집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이 권력에 오른 이후, 북한의 행동은 분명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