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 전력난 해소, 러시아 지원만으론 부족… 중국이 나서야”
앵커: 마키노 요시히로 일본 히로시마 대학교 객원교수 겸 아사히신문 외교전문기자와 한반도 정세를 분석하고 전망해 보는 시간으로 대담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뉴스] ‘군사동맹+α’ 북-러 조약…한반도 통일은 지워졌다
북한이 20일 전격 공개한 북-러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은 전문과 2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러 관계의 군사적 동맹 성격 규정 말고도, 국제질서와 과학기술, 식량, 에너지, 정보통신, 문화 교류까지 광범위한 합의를 담고 있다. 북한과 소련이 맺었던 ‘북-소 동맹 조약’이 군사적 동맹에 집중했던 데 견줘, 훨씬 포괄적인 ‘동맹 플러스알파’ 조약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과학]
... 인력을 양성할 수 없었다. 대신, 인도처럼 탁월한 소프트웨어 인력을 양성해 왔다.
한국 대기업은 IT 하드웨어 산업에 집중했고 상대적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에 소홀했다. 한국의 IT 하드웨어 실력과 북한의 IT 소프트웨어 실력을 결합하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 명을 주도하는 세계적인 IT 회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본다.
*
북한 경제가 도약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교통, 물류와 에너지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 북한의 인프라 구축에는 한국 기업이 제일 많이 참여할 수 있으므로 초반부터 경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한국 정부는 국내외 금융회사와 함께 북한 인프라 펀드를 조성해 북한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자금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경제/과학]
『신남북경제협력 기업전략』은 한반도 신경제협력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남북한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심도 있게 분석한 책입니다. 저자들은 신남북경협을 위한 기업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제1부는 남북경제협력의 대내외 환경 분석에 대해서 다룹니다. 제1장에서 오종문 박사는 ‘한반도 국내외 정세변화 영향’에서 한반도의 정세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 속에서 남북교역의 역사적 의의와 잠재력을 재조명합니다. 특히, 남북 간 교역이 평화와 번영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합니다.
제2장에서 김종경 이사는 ‘글로벌 신산업 현황과 신남북경제협력 기회’에서 디지털 전환, 재생 가능 에너지, 바이오테크놀로지 등 신성장...
[정치/군사]
... 대응해야 하는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북방을 기회의 땅으로 변모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러시아는 세계 160개국 이상에 농산물을 수출하고 있으며 에너지와 수산물 자원 또한 풍부하다. 자원 빈국인 우리는 미래의 성장ㆍ번영과 결부된 러시아의 지경학적 가치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한편 북극을 오가는 길이 열리고 있다. 북극 항로와 철의 실크로드는 21세기 물류 혁명의 상징이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북극 항로에 최우선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후복구 건설시장 또한 기회의 장이 될 수 있다. 파병까지 했던 이라크에 우리 기업의 참여가 실망스러웠던 과거의 교훈을 반추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는 중국과 협력하면서도 경제 대국인 중국의 과도한 경제적 진출을 우려한다. 러시아로서는...
[정치/군사]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국제 정치와 경제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통일외교 전략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러-우 전쟁은 에너지 및 식량 공급망의 불안정을 초래했고,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을 높였다. 중동의 분쟁은 국제사회의 에너지 시장과 안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경제와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보고서는 한국이 통일외교를 추진함에 있어 유럽, 중동, 인도와 같은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들 지역에서 평화와 번영을 위한 통일외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한다. 이를 통해 한국은 국제 사회에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과학]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공간적 상상력”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고, 그 결과로 체결된 판문점 선언과 공동합의문은 한반도 정세의 긴장 완화와 아울러 평화 정착에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8년 여름의 끝 무렵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는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세미나팀을 운영했다. 7명의 저자는 한반도에 불어온 훈풍을 타고, 남한의 에너지 전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시야를 한반도 전체로 넓힐 기회로 삼고자 했다.
두 기관은 ‘한반도와 아시아 에너지 전환의 미래’라는 주제로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얼 띤 토론을 양분 삼아 ‘한반도 에너지 전환...
[학술논문] 신 푸틴시대 러시아 신동방정책과 전망: 러시아 에너지정책을 중심으로
...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게다가 국제적인 여건은 러시아 에너지망의 동진, 중국의 부상, 일본의 원전사고와 북핵문제까지 다양한 변수들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의 극동에너지 사업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동북아에 새롭게 대두하는 에너지안보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남․북․러 가스, 송유관 사업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동북아 에너지 안보협력에 대해 어떤 방법이 필요한가에 대해 접근해본다.
[학술논문] 자연재해인가 정책실패인가?:북한의 문화생태 현실과 구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 문화생태의 문제는 정책과 제도, 문화와 관행, 생태환경과 기후변화의 복합구조 속에서 악순환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이러한 문화생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산림복구 지원과 조림사업 등 생태환경의 개선을 시작으로 하여 벌목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제공,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지원 등 다각적 협력과 도움이 필요하다. 북한당국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환경정책과 문화 및 제도의 개선, 그리고 농업생산 및 생태환경 증진을 위한 과학기술과 정보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내부의 자원동원이나 법제도만으로는 북한 문화생태 상황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녹색한반도의 비전하에 남한정부와 시민사회 및 국제사회가 녹색평화 프로젝트로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The Analysis of the Role of Mongolia among the Korea, Mongol, North Korean Sociocultural Relationship
...몽골은 수교 22주년을 맞이하였다. 이 시점에서 한국과 몽골은 전통적인 국제관계의 틀 안에서의 정치 분야와 기존의 경제 협력분야와는 달리 사회경제 분야에서의 협력과 남북 문화교류에서의 몽골의 역할이 기대되어지고 있다. 바로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녹색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과 몽골인들의 한국 이주에 관한 문제 그리고 중간자로서 몽골이 남북한의 사회문화교류에서의 역할을 진단하고 분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녹색에너지 분야에 있어서는 2010년 한·몽 전략대화 제1차 회의에 참석하였던 몽골측 대표단이 한국의 경기도 안산 누에섬 풍력 발전소 현장을 견학하고, 몽골의 쏨(우리의 군)마다 필요한 규모라는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노동력, 몽골의 자연환경의...
[학술논문] 남북분단 구조를 통해 바라본 ‘탈북 트라우마’
... 감정에 사로잡혀 북을 적대적으로 타자화 한다. 하지만 그러한 타자화는 역설적이게도 한국 사회 내에서 이들을 고립시키고 심지어는 상품화하는 것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트라우마를 재생산하는 구조를 강화하고 나아가 치유할 수 없게 만드는 모순적인 결과를 낳고 만다. 그렇기에 탈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탈북자 스스로 북으로 향해 있는 파토스의 에너지를 한국사회와의 연대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돌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한국주민들이 여전히 이들을 북의 주민과 동일시하면서 타자화한다면 거세 공포를 지니고 있는 탈북자는 주체적으로 ‘말하기’(Logos)를 시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탈북 트라우마의 치유는 탈북자 집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분단 구조로 인해 한국 사회에 고착화되어 있는...
[학술논문] 푸틴-김정은 시대의 북러간 경제협력 실태 및 전망
...countries. President Putin's 2000, 2001 and 2002 summits with Kim Jong Il were the turning point of the Russo-North Korean rapprochement. Russia was ready to implement plans with North Korea regarding energy, railway, and electricity projects. However, both countries faced an obstacle regarding North Korea's nuclear test and debt to Russia. Removing these obstacles was urgently needed. Moscow has writ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