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의 한반도 지역어와 한국어 다양체의 교육적 시사점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시대의 뜻을 규정하면서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언어지리학적 관점에서 살펴 그로부터
한반도 언어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을 갖는다. 통일시대는
한반도가 ‘통일의 몸’을 갖게 될 때까지 남북 간의 상호 연결 접속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지향하며 나아가는 통합 및 종합의 길이요, ‘조성’, ‘유지’, ‘구축’의 과정으로 전개될
한반도의 현재이자 장차 미래로 나아갈 특이점(singularity)의 위상으로 보았다. 남북이 상호 연결 접속하는 통일시대에 남북의 언어는 이질성도 갖고 있지만, 그보다 더 강한 동질성을 갖고 있는
한반도
지역어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제주를 비롯하여, 전라, 경상, 충청,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