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의 지배 담론과 텍스트의 균열 양상 연구 -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1945~1953)의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
본고는 북한문학의 지배 담론과 실제 텍스트의 균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1945~1953)에 이르는 양면적 평가의 대표 작품으로
한설야의 「
모자」(1946), 이태준의 「호랑이 할머니」(1949), 김남천의 「꿀」(1951)을 선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설야의 「
모자」(1946)는 발표 당시에 ‘조소 친선’이라는 주제의식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지만, 소련군 병사의 동요하는 내면 등을 포함하여 작품 내적 리얼리티의 훼손이 비판된다. 이태준의 「호랑이 할머니」(1949)는 분단 이후 북한 사회 현실에서 문맹 퇴치 사업의 성과를 조명하지만, 인물 성격의 과장성이 비판되고 확대되면서 근로 인민에 대한 모독과 제도의 비방이라는 비난에 이르게 된다. 김남천의 「꿀」(1951)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