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공간 변화를 통해 본 시인 김우철의 정체성
...시인’‧‘국경 시인’‧‘식민지 시인’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또 해방 및 분단 이후에는 “평양 시내에 있는 중견 년배 시인”으로서 ‘중앙 시인’‧‘당의 시인’‧‘혁명적 랑만주의(카프) 시인’의 정체성을 나타냈다. 특히 카프 전통을 이은 ‘혁명적 랑만주의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해방 전과 해방 및 분단 이후를 잇는 김우철의 중심축이었다. 따라서 김우철은 북한 문학 전통이 카프 문학 전통으로부터 항일혁명 문학 전통으로 새롭게 변모하는 ‘전면적 개화기에 들어선 천리마 시대(1958〜1967)’로 접어드는 첫 어귀에서 설 자리를 잃고 문단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학술논문]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 ‧ 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학술논문] 고려인 문학과 북한 문단과의 영향관계 ― 조명희를 중심으로 ―
...고려인 문학과 북한 문단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조명희 고려인 문학이 남북한에서 역사적 시대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소련에서의 조명희 문학의 위상은 한글문학의 개척, 고려인 문단의 형성, 북한 문단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주의 건설 하의 소련이라는 시공간에서 조명희 문학은 민족과 계급의 경계를 넘나들고 국제주의적 시각 속에서 유토피아적 공간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는 기억과 재현이라는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민족의 현실을 인식하고 탈식민의 이상적 공간을 꿈꾸었다. 조명희 문학으로부터 비롯된 북한 문학의 특질은 그의 제자인 조기천 문학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조기천 문학은 북한의 송가문학이나 항일혁명문학의 형식과 내용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조명희 문학에 나타난...
[학술논문] 주체문예론의 형성과 김정일의 초기 예술론
...주체문예론의 형성에는 김일성이 창조했다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전통을 김정일을 비롯한 주체문예론의 이데올로그들이 1970년대에 각종 예술작품, 공연으로 재현, 재창작한 경험이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이에 주체문예론이 북한 문학예술의 유일 이론으로 정착하는 데 참여한 강능수, 한중모, 정성무 등의 이론적 기여와 김정일의 청년시절 초기(1964-73) 문예론을 구체적으로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조선화’ 차원을 넘어서 보편 미학과 차별화된 주체문예론의 자기정립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 특징은 수령의 영도(최고 지도자의 지도)와 항일무장투쟁기의 예술선동 경험을 유일 전통으로 규정하고 이후 북한 문학예술은 그를전범으로 삼아 창작하고 비평하는 것이다.
[학술논문]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항일혁명문학의 전범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된 조기천의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백두산』창작토대에는 趙基天의 문학 활동, 항일혁명의 영웅적 활약상을 형상화했던 재소 고려인문단의 특수성, 소련문학의 영향 등이 작용하였다. 항일혁명의 전설적인 영웅을 형상화했던『홍범도』 는 실제『백두산』작품과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했다. 그리고 조기천이 소련에서 문학 활동을 전개하던 시절 유행하고 성행했던 서사시나 장편서사시, ‘뽀에마’ 등은 마야코프스키 시와 결합하여『백두산』이 창작된 토대로 작용하였다. 『백두산』의 창작토대에 마야코프스키의 시풍과 작시법이 작용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조기천은 마야코프스키 시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변용, 변주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