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춘향전」의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고전작품을 해독하는 일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어 보이고, 중국 번역자인 장우란(張友鸞)은 중국 고문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지만 조선말은 할 줄 모른 것 같다. 두 사람의 번역 실력이 1956년 역본의 질(質)을 결정했다. 전체적으로 1956년의 번역양상을 살펴봤을 때 대구(對句)나 한시, 그리고 중국의 전통 희극적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원작의 운치를 최대한 재현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인다. 또한 원작의 고전적인 정취와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 그리고 주인공들의 슬픔과 기쁨 등 감정도 아주 적절하게 표현해 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독자들이 충분히 친근감을 갖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역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6년 역본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 역본은 원작에 대한 해독의 미숙함으로...
[학술논문] 북한송환사업과 공모하는 ‘냉전’‒미야모토 데루 「자두건(紫頭巾)」을 중심으로‒
...문맥, 즉 88서울올림픽을 둘러싼 남북관계 및 냉전체제 속에서 1959년의 북한송환사업이 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사유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1959년 12월 13일, 북한으로 귀국하기 전날에 발생한 살인사건(용의자는 북한으로 귀국하는 재일조선인)을 다룬 동 소설은 88서울올림픽 직전의 남북 공동개최에 대한 논의 및 북한의 테러 등의 문맥과 비교하면서 해독을 해보면, 소설의 전반부에 방점을 찍고 읽으면 북한송환사업이 추진되었던 1959년 당시의 한국 비판론으로 읽을 수 있고, 후반부에 방점을 찍고 읽으면 소설이 발표된 동시대의 북한 비판론으로 읽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는 동 소설은 북한송한사업을 둘러싸고 ‘냉전’의 이데올로기...
[학술논문] 북한 기록영화 <38선>의 영상기호 분석
이 글에서는 북한 기록영화의 통제된 영상기호를 해독하기 위해 기호학적 연구방법으로 영상기호를 해체하여 그 내포된 의미와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초기에 제작된 <38선>에 대해 영상기호의 지시적 의미를 나타내는 영상구성요소 분석과 영상기호의 심층적 분석을 위해 표상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 기록영화의 영상구성요소는 기록영상, 현장화면, 구성화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표상요소 분석결과 카메라 기법은 드라마틱한 효과를 구사하기 위해 표현주의 영화의 제작방식을 일부 수용하였으며, 편집기법은 속도감 있는 편집기법으로 내용 전달을 위해서는 다양한 컷들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장음, 배경음악, 내레이션 등의 사운드 요소들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정권 초기의 부족한...
[학술논문] 북한과 탈북자를 재현하는 텔레비전에 대한 수용자의 시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대한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채널A의 예능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세련되고 친근한 모습의 탈북여성을 화면에 담아내며 남과 북의 이해와 소통에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탈북자에 관한 새로운 재현요소가 시청자들로 하여금 탈북자에 대한 긍정적 담론을 창출하고 북한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을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는지 가늠해 보기 위해 수용자 해독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탈북자를 북한과 북한인에 대한 고정관념 속에서 이해하므로 끊임없이 탈북자를 한국인보다 열등한 대상으로 구성하고 타자로 위치시키려고 했다. 본 연구는 방송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존재로 규정되어온 북한과 탈북자에 대한 긍정적이고 색다른 재현을 시도하더라도, 시청자들은 북한에 대해 가진 인식의 틀을 바탕으로 메시지를 수용하기 때문에...
[학술논문]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변화를 중심으로
...탈북여성의 재현이 탈북자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했다. 특히 종편에서의 ‘탈북미녀’라는 새로운 기표의 등장과 그 의미가 탈북청년과 남한청년에게 어떻게 차별적으로 수용되는지를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서 살펴봤다. 구체적으로 홀(Hall)의 정체성의 정치학적 논의를 활용하여 남북(南北), 그리고 남녀(男女)라는 서로 다른 해독의 위치에서 ‘탈북미녀’라는 기표가 기존의 ‘탈북자’ 정체성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일부 남한청년은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을 ‘남남북녀’ 속설과 연계해 ‘남과 북’의 경계를 ‘남성과 여성의 외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