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한반도 해안선 정립을 위한 수치모의
우리나라
해안선 자료는 그 근거가 일제 강점기 때 작성된 이후 정량적으로 전국에 걸쳐 조사된 바가 없어 그 정확성, 일관성 및 현황파악이 어려웠다.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해안선은 중등조위면을 기준면으로 작성되어 현재의
해안선 개념과는 차이가 있으며, 현재 각 행정구역별
해안선 산출기준이 다르고, 각 사용 목적별로
해안선의 정의가 달라 통일된
해안선의 정의가 필요하다. 또한, 각종 연안개발에 따른
해안선 직선화문제는
해안선 변화를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또한, 각 사용 목적별
해안선의 정의, 과거의
해안선자료 통계, 조석기준면, 세계 각국의 조위기준면 및 국가 관할해역의 확장을 위한 인접 국가의 동향 등 국내ㆍ외적인
해안선 고찰을 통해
해안선의 중요성과 대규모 개발에 따른
해안선 변화를 시급히 재
정립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