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4세기 명문자료 중에는 허호의 자칭이 다수 확인된다. 348년 대방태수 장무이의 사례는 ‘대방태수’를 표방하면서 종래 대방군 설치되었던 지역에 대한 현실적인 지배 내지 연고를 고구려로부터 보장받고자 한 것이다. 이와 달리 현지 기반이 없었던 북중국 망명인인 동수나 진의 관직은
허직이면서 여기에는 고구려의 지배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망명인들은 관작의 자유로운 표방과 적극적인 과장을 통해 중원 왕조의 정체성을 강하게 내세웠으며, 이를 매개로 고구려로부터 지위를 인정받고 후속의 기반을 보장받고자 하였다. 동류의 북중국계 망명인 집단에게는 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자신들의 기존 지위를 유지하면서 공고한 결속을 계속 다지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