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국1ㆍ2ㆍ3> 및 <청산별곡>과향토민요 아라리의 비교연구
한민족을 대표하는 노래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남ㆍ북한의 무형문화유산이 모두 등재된 ‘아리랑’의 유래는 한반도 중동부지역에 전승되던 향토민요 ‘아라리소리’에서 찾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것은 바로 긴아라리ㆍ엮음아라리ㆍ자진아라리의 3곡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최초의 아리랑 악보가 19세기 말에 등장하기 때문에, 그 이전 아리랑계 악곡의 유래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음악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기 어려웠다. 이 글에서는 조선 중기의 악보인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악곡을 분석하여 아리랑의 유래에 관한 논의를 조선 중기 이전이나 그보다 더 소급하여 고려시대로까지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