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독립군가・혁명가요의 이념적 차이와 1980년대 체제에 따른 여성 중심 작품 수록 여부
...검증된 사실임을 강조함으로써 독립군가의 현장성과 사실적 권위를 더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북한 자료집에 실린 배경설명들을 보면 이러한 현장성과 사실적 권위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독립운동 현장에서 작품이 어떻게 가창되었는지는 다루지 않으며, 몇몇 작품들도 김일성 일가가 직접 창작하여 가창되었다는 식의 배경설명들만 남아있을 뿐이다. 또한 남한의 독립군가 자료집에서는 여성들이 창작하고 향유했으리라고 보이는 작품들은 보이지 않는다. 반면 북한의
혁명가요 자료집에서는 이러한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조차도 여성의 주체성과 여성의 그러나 이 자료집들에서도 수록된 작품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결국 김일성을 우상화하는 데 이용된다. 그리고 이는 1980년대부터 이어진 정치경제사회적 체제의 문제로부터 기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