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 이후 북한 발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조선통사』와 『조선전사』를 이은 세 번째 발해 관련 개설서라고 할 수 있다. 주요 특징으로는 우선 발해의 고구려 계승성을 기조로 하는 내용을 유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서술에 해당한다. 둘째로 이전에 비해 중무 정책과 중문 정책 시기로 나누는 등 나름의 세부적인 시기 구분을 시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 『
협계태씨족보』등 사료로서의 가치가 의심스러운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외국 학계의 성과에 대한 검토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도 보인다. 이런 이유로 북한 학계의 독특한 견해가 양산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둘째로 2000년대 단행본의 특징은 단대사 『발해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야별로 발해 역사를 집필했다는 것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