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핵무기 개발 성패요인에 관한 연구 : 북한과 후발 개발국가 사례 비교
...서방의 제재와 압박에 취약했으며 과기부문 후진국으로 핵 기술 과 인적 역량도 부족하여 핵개발을 포기 내지 중단하게 된다. 다만 이란의 경우에는 지도부 및 군부의 핵 무장 의지가 여전하여 핵개발을 지속할 가능 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북한의 핵 무장 목적은 김씨 세습 정권 안보는 물론 적화통일까지 염두에 두고 있고, 핵무기 고도화 지속 추진, 핵
협상
태도와 북핵 보유 법 제화 등을 고려할 때 핵을 포기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대외 협상도 핵 동결 조건하에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종전협정 체결과 제재 완화, 경제지원 확보가 주목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로서는 현실적 핵 보유국인 북한의 핵 위협에 대처하여 핵 방어태세로 한국형 3축 체계(킬체인,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대량응징 보복)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