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규범문법 성립 과정에 관한 연구 – ‘자리토’와 ‘끼움토’의 설정을 중심으로
...1』(1960)에서 설정한 ‘토-
형태
조성의
접미사’라는 구도가 ‘위치토-비위치토’를 거쳐 1970년대 규범 문법의 ‘자리토-끼움토’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체계는 80년대의 소위 이론 문법에서도, 그리고 현재까지도 큰 수정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
형태
조성’이다. 문장 내에서 한 단어가 다른 단어들과 맺는 문법적 관계는 ‘토’와의 결합을 통해 드러나는데 단어와 ‘토’의 결합형이 바로 그 단어의 (문법적) ‘
형태’이고 ‘토’의 기능 역시 그러한
형태를 조성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