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자본의 문제
...폐쇄성을 다루면서 탈북자로서의 진실성과 정치적소명의식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빈곤을 벗어나 이주한한 개인으로서의 인식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층위가 단순하지 않다. 북한 체제 내부에 대한 비판이나 탈북 과정에서의 고통에 대한 형상화와 함께 탈북 이후의 삶과 적응 문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탈북자들의 형상화는 그들이 자본주의 체제의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재탄생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는동시에,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탈북자들은한국 사회에서 ‘차이’를 보여주는 존재들이지만, 그러한 차이로 인해 새로운 창조적 유목민으로 기능하며 한국 사회에 또 다른 상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