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北)에서의 원효 화쟁사상 연구 ‒한명환 조선철학전사(2)(사회과학출판사, 2010)를 중심으로‒
...변증법 특징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일곱 번째로 “원효
화쟁
사상에 대한 이해와 평가의 한계”로 글을 맺었다. 한명환의 원효
화쟁사상 연구 관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원효가 해동종철학을 창시했다는 애국주의적 관점이다. 둘째, 원효가 피지배 계급 관점에서 봉건 착취 계급의 진보적 계층을 대변한다는 유물론적 역사관이다. 이는 서구에서 수입된 역사관으로 본 것이다. 둘째 관점의 유물론적 역사관으로 본 원효의
화쟁
사상에 대한 평가는 첫째 관점의 민족철학을 구성하는 애국주의적 관점과 내적 모순을 가진다. 한명환은 원효의 ‘해동종철학’의 ‘
화쟁사상’과 ‘해동종철학의 (화쟁) 변증법’에 대해 ‘김일성주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