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이 글은 북한을 이탈해 중국에서 남한으로 이동한 여성의 자기서사를 통해 탈북여성의 증언과 자기재현 행위로서의 ‘이야기하기’가 발동하는 정치의 의미를 탐문하고자 했다. 1990년대 이후 탈냉전이라는 세계체제의 변화 속에서 남한으로 이동한 북한 주민들은 ‘탈북자, 탈북이주민,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등으로 명명되며, 민족과 이방인, 시민과 난민, 냉전과 탈냉전이 이접된 불편한 타자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탈북이주민의 주류가 여성들이다. ‘탈북의 여성화’는 1990년대 이후 식량난의 위기에 봉착한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와해되면서 남성을 대신해 생계부양자로 나선 여성들이 생존의 회로를 따라 초국적 이동을 감행한 결과이다. 1990년대 이후 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