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방안을 위한 퇴계의 리도설과 북한의 주체사상 비교 연구
북한의 주체사상은 다른 공산권 국가들과 다른 체제적 모습을 띄고있다. 이러한 양상을 오래된 유교적 풍습에서 찾자면 중국과 베트남을예로 들 수 있겠지만 인본주의나 자발성에 대한 강조는 이 두 나라와도다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유교라는 시선으로 북한을 바라봐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반도는 유교를 4세기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유교로 발전시킨다. 예컨대 주자와 퇴계의 차이가 그렇다. 주자는 리(理, 진리)를 정의도 없고, 헤아림도 없고, 조작도 없다고 했는데, 퇴계는 ‘발현하고(發)’⋅‘움직이고(動)’로 정의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이르른다(到)’라고 말하였다. 조선유교에서 리(理)는 원리적이기 보다는 주재적인 리(理)를 강조하였다. 조선유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