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학사의 시각과 이광수 연구사 - 『조선문학개관』 이후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이 논문은 북한 문학사의 이광수 인식과 서술이 1986년의 저작을 기점으로 변모하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을 가진다. 북한 문학사는 남한의 경우와 달리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알려져 있는 편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배제와 부정에서 제한적 인정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문학사는 분단 이후 1960년대까지 이광수와 그의 문학을 철저하게 배제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후 1980년경까지의 문학사에서는 이광수를 언급하기는 하나 ‘부르주아 반동문학’이라는 비판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1986년에 이르면, 북한 문학사는 이광수의 1910년대 소설에 한해 ‘부르주아 계몽문학’으로서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