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춘향전」의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 점이 있어 보이고, 중국 번역자인 장우란(張友鸞)은 중국 고문 실력이 상당히 뛰어나지만 조선말은 할 줄 모른 것 같다. 두 사람의 번역 실력이 1956년 역본의 질(質)을 결정했다. 전체적으로 1956년의 번역양상을 살펴봤을 때 대구(對句)나 한시, 그리고 중국의 전통 희극적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원작의 운치를 최대한 재현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인다. 또한 원작의 고전적인 정취와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 그리고 주인공들의 슬픔과 기쁨 등 감정도 아주 적절하게 표현해 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독자들이 충분히 친근감을 갖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역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6년 역본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 역본은 원작에 대한 해독의 미숙함으로 인해 의사전달이 정확하지 못한 부분이...
[학술논문] 북한 과학환상소설의 환상성과 인물의 형상화 방식
...비교적 차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 따르면 북한 과학환상소설은 과학적 환상을 바탕으로 사실적이며 희망적이라면 서구의 과학소설은 터무니없는 환상에다 비현실적이며 비관적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 과학환상소설은 독자들에게 과학기술과 정보를 제공한다. 북한 과학환상 소설은 일종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즉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 그리고 악당 과 희극적 인물이 그것이다. 북한과학소설에는 크게 긍정의 인물과 부정적 인물로 나뉜다. 긍정형의 인물들은 지배적이거나 사회적으로 가장 명백한 특징들을 다양 하게 보여준다. 그들은 독립적이며 영웅들이며 유토피아에 대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부정적인 인물들은 다시 수동적인 부정형의 인물과 적대적인 부정형 인물로 나뉜다. 긍정형인물과 부정형, 수동적 부정형 인물들 간의...
[학술논문]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리기도 『주체의 미학』(2010)을 중심으로
...“사람의 자주적 요구와 지향”이라는 기준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긍정범주(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 비극적인 것)와 부정범주(추한 것, 저속한 것, 희극적인 것)로 나눈다. 다음으로 긍정범주는 “사람들의 자주적 요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또 그 요구의 어느 측면을 주로 반영하고 있는가”에 따라 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영웅적인 것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행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웅적인 것을 독자적인 미적범주로 다루고 있는 것이 북한미학의 큰 특징이다. 이러한 미적범주론은 소비에트 미학의 가치론적 관점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수용, 변화시킨 것이다. 둘째, 북한미학의 미적범주론은 생리적, 감각적인 것들이 대부분 배제된 의식적-사상미학적...
[학술논문] 북한 미술의 유의미한 담론 구성을 위한 제언- 웃음 코드를 중심으로 -
...정서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 만큼 고도로 훈련된 묘사력을 갖추어 현대 미술의 어느 장르에도 속하지 않는 독창성을 만들어 내었다. 이 글은 조선화의 제한된 형식적 한계를 극복하며 독자적 양상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체미학의 최적화된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웃음에 담긴 코드에 주목하고자 한다. 웃음으로 매개된 세 가지 코드, 즉 1)위선과 기만에 대한 탈-권위적‧ 비판적 웃음, 2)환상성이 공존하는 웃음, 3)감성 정치 속의 웃음을 검토한다. 북한 미술에서 웃음에 내포된 의미, 체제선전 전략으로서 예술의 기능 분석이 이어진다. 이는 동시대의 미술에서 다뤄지고 있는 웃음에 대한 담론 및 표현방식들과 교차 분석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논문은 북한 미술에 대한 균형 잡힌 평가를 위한 담론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북한 주민들의 노래 개사를 통한 현실 풍자와 규범의 전복 : 폐쇄된 사회의 창조적 저항
...가창 방식이 시대와 세대마다 다르게나타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이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북한 노래를 개사한노래는 가사에 현실의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대상화해 희화화하며, 비극적 현실을 적나라하게 직시하고 일상의 언어를 통해 희극적으로 전환시킨다. 개사노래에는 북한 주민들의 욕구와 욕망이 그대로 담겨 있으며, 현실의 언어가날것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북한 주민들은 노래 개사 행위를 통해기존의 국가가 만든 비일상적이고 전형적인 노래에서 찾을 수 없는 현실적이고일상적인 내용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 당국의 강력한 통제 기제의 심화는 북한 주민들의 집단행동을 촉발시킬수 있는 동원 기제를 저해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 풍자와 규범의 전복이 실현되는 북한 주민들의 노래는 집단행동으로 발현되기 이전 단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