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사교과서의 9세기 농민항쟁 서술과 중세사 이해
...중세사의 개막 시점은 통일신라에서 삼국시기로 상향되었는데, 이에 따라
9
세기
농민
항쟁의 배경이었던 통일신라 시기는 봉건사회 성립기가 아닌 재편기로 규정되었다.
9
세기
농민
항쟁은 부곡의 축소를 통해 인민 처지의 개선이란 성과를 얻었다고 하였는데, 부곡의 의미도 변화하였다. 부곡민은 삼국시기의 농노적 천민에서 통일신라시기 농노적 양민으로 성장하였다고 하였고, 부곡의 축소는 삼국시기 이후 “노예제적, 공동체적 잔재” 청산이란 의미를 가졌던 데서 ‘중세 봉건사회 재편’이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재해석하였다. 장기 지속된 중세 봉건사회사 속에서
9
세기
농민
항쟁을 바라보는 시각이 정착된 것이다.
9
세기
농민
항쟁에 대한 북한의 역사학⋅역사교육은 계급투쟁을 강조하는 데 치우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