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론과 로봇 등 자율무기의 국제법적 적법성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탑재된 자율 살상 로봇(Lethal Autonomous Robotics: LARs), 즉 “살인자 로봇(killer robots)”이나 사실 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율 무인항공기, 무인함정, 무인잠수함 등의 다양한 드론과 같은, 자율무기(autonomous weapon)에 대한 국제법적 적법성 판단과 허용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일상생활에 편리함, 안전, 풍요로움을 가져왔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심각한 재앙의 결과, 나아가 인류공멸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학기술의 양면성(兩面性)은 자율무기의 이익, 즉 “로봇이 전사하면 그 어머니한테 편지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학위논문] 체제전환을 대비한 북한 인적자원 재교육 전략 : ICT 혁신대학을 중심으로
...and the fourth was in terms. Sub-detail priorities include ⓵problem-solving-oriented project based learning (PBL), ⓶ Discussion-oriented teaching methods, ⓷ Big data infrastructure, ⓸ AI(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⑤ Enterprise-government-University interface programs, ⑥ Various measures of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⑦ Universities' autonomy in education courses, ⑧ Flipped Learning...
[학술논문] 북한군 미래 전투양상을 고려한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적용 방안
오늘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Robot),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빅 데이터(Big Data) 등 최첨단 과학기술과 지식·정보 분야에 걸친 혁신은 지금껏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속도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우리가 성취해 온 모든 제도와 가치, 그리고 삶의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그 결과, 이러한 혁신을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표현한다. 우리 군 또한, 오늘날 맞이하고 있는 변화의 환경 속에서 드론봇(Dronbot),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 등을 이용한 새로운 전쟁수행방식의 추진 등, 군만의 독자적인 군사혁신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드론봇, 워리어 플랫폼의 핵심기술...
[학술논문] 큐브인공위성과 인공지능을 융합한 북한군 이동식무기체계의 탐지 및 추적에 대한 연구
...launchers;which are a major danger to the military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it aims to present economic and effective measures for observation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by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th Cube satellites. A large number of Cube satellites were launched into their target orbit and operated. Then the data collected was used to determine how to enable real-time...
[학술논문] 해학 이기의 신인(神人/眞君) 의식과 동북아 평화
...해학의 사고가 오늘 우리 시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보려는 것이다. 특히 그가 『단군세기』와 『태백일사』 등 자신의 고성(固城) 이씨 가계에서 오랜동안 전수되어 내려온 한민족 고기(古記)에 관심하면서 민족 자주와 주체를 위한 새로운 종교운동과 정신운동의 핵심으로 제안한 ‘신인’(神人/眞君) 의식과 ‘진교’(眞敎) 의식이 어떻게 오늘날 남북한을 다시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정신적 토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한 신인의식은 또한 21세기 포스트 휴먼(호모데우스)과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시대에도 큰 의미를 줄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은 21세기 우리 시대를 위한 또 하나의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