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Changes in durable consumer goods consumption in North Korea : Evidence from household appliances in urban areas
북한 주민은 그 동안 정권의 통제 아래 일상생활의 물질적 결핍 속에서도 묵묵히 삶을 영위하는 이미지로 묘사되어 왔다. 계획경제였던 북한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커다란 사회경제적 변화를 겪었고, 북한주민들이 그 위기에서 벗어날 방법을 모색하면서 암시장의 극적인 성장을 초래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북한의 민생 부문이 다시 활기를 회복할 기미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북한의 정치·경제체제의 전환기 배경 하 북한 도시주민의 소비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경제적 계층·지역 간의 격차와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북한 가정에서 사용한 내구소비재(耐久消費財) 중 가전제품의 소비패턴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또한 국가의 담론, 정책 및 주민 개개인의 역동적인 관계를 설명한다. 가전제품을 주목한 이유는
[학술논문] 북한 전력난 해소를 위한 천연가스 이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반 분산발전 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operates at a voltage of 33.87 V and current of 31.24 A was modeled with a gross output of 1.06 kW and a net output of 1.00 kW considering the balance of plant (BOP) consumption power. Considering the average primary energy consumption in the ASEAN countries in 2020, 2,870 MW was estimated as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required in North Korea. Also, the gross area of the plant and the annual fuel...
[학술논문] 위성 야간광 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발전량 예측 연구
...발전량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기민한 산업 동향 등의 파악이 힘든 지역의 월간 발전량의 추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ical energy is a key source of energy for modern civilization, and changes in electricity generation and consumption are closely related to industry and lif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ity generation and nighttime light values in South Korea and used it to pred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