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의 핵전략 결정요인 연구 - ‘핵전략 선택 제약 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의 핵전략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핵전략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비교권위주의 연구의 주요 성과들을 접목시켜 핵전략 선택 제약 이론이라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고, 중국.파키스탄.북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특정국가가 핵개발을 시도하게 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안보적 요인을 배제하고 설명할 수는 없다. 무정부상태의 국제사회에서 자구(self-help)를 추구하기에 가장 효용성이 높은 무기가 바로 핵무기이기 때문이다. 이는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에게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이들도 억제력이 더 높은 핵전략을 선택하려는 기본적인 동인이 있다.
그러나 핵개발을 시도하는 모든 후발 국가들이 마찬가지겠지만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의
#김홍익 #핵전략 선택 제약 이론 #실존적 억제 #확증보복태세 #비대칭확전태세 #권위주의 체제의 핵태세에 따른 대내·외 안보 딜레마 #일당 독재 #개인 독재 #군부 독재 #중국 핵전략 #파키스탄 핵전략 #북한 핵전략 #Constrained Choices of the Nuclear Strategy Theory #Existential Deterrence #Assured Retaliation Posture #Asymmetric Escalation Posture #Internal-External Security Dilemma of the Nuclear Posture #Single-Party Dictatorship #Personalist Dictatorship #Military Dictatorship #China's Nuclear Strategy #Pakistan's...
[학술논문] The Future of the U.S.-South Korean Alliance: Increasingly Off-Peninsula
Despite decades of international efforts using all manner of diplomatic, economic, and pressure tools, North Korea remains an existential threat to South Korea and a security challenge to the alliance. Indeed, Pyongyang has stepped up its efforts in recent years to augment and improve it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gainst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missile launches and parades...
[학위논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1989~2006)
#...딜레마 # 억지·강제의 동시추구 # 실존적 억지 # 간접억지 # 협상을 통한 확산 # 위기조성외교 # 비-핵무기화국가 # 비배치 핵보유국 # 제한적 비핵화 # vertical nuclear policy regime # security vs. economy dilemma # simultaneous pursuit of deterrence and compellence # existential deterrence # indirect deterrence # proliferation through negotiation # crisis diplomacy # nuclear non-weaponized state # non-deployed nuclear weapon state # limited denuclea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