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대학생들의 남북한 사회가치 인식 비교 - Schwartz 가치척도를 중심으로 -
...전 세계적으로 그 타당도가 입증된
Schwartz
가치
척도를 활용하여 인식된 남북한 사회가치를 10가지 가치유형 측면과 집단주의-개인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은 사회적 가치를 해당 사회 구성원들의 개별가치의 총합이 아닌 독립적인 항목으로 인식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의 대학생들은 보편주의와 권력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남한사회와 북한사회가 유의미하게 다른 사회적 가치를 추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북한사회는 집단주의적인 가치를 남한사회는 개인주의적인 가치를 중시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대학생들은 본인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대체적으로 북한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보다 남한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가깝다고 밝혔다. 하지만
Schwartz의 가치유형 중 가까운 이들의 복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