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한 백두산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단양·경북동해안도(종합)
백두산의 북한 영토가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됐다.
북한의 첫 세계지질공원이다.
세계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으로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보존하고자 지정되며 세계유산(World Heritage),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과 함께 유네스코 3대 자연환경 보전 지정 제도다.
[뉴스] 북한 백두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북한의 백두산이 10일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됐습니다.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유산(World Heritage),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과 함께 유네스코 3대 자연환경 보전 지정 제도로, 지구과학적으로 뛰어난 가치를 지닌 지역을 보존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승인하는 곳입니다.
[학술논문] 중국의 발해사왜곡논리와 대응방안
...translating the books on Balhae history into English and building a database of Balhae's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China. One of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will be to make thorough preparations against the possibility that China will register Balhae's cultural relics as World Cultural Heritage on its own. The countermeasure requires effort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Balhae relics in...
[학술논문] 고구려 고분 명칭 번역 현황 및 중국어식 음역의 지정학적 함의 —중국 소재 장천고분 및 통구고분을 중심으로—
...materials dealing with cultural heritage via the example of Romanization of the names of tombs of the ancient Goguryeo Kingdom (?-668) of Korea. The paper begins with a short introduction to the ancient Goguryeo mural tombs currently located in North Korea and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including their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an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n, the paper looks into...
[학술논문] 21세기 한․몽 사회문화 교류의 활성화 방안과 전망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oth Korea and Mongolia are very active in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ir cultural heritage and as a result many heritages are officially listed by UNESCO. Korea run UNESCO licens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 for Asia and the Pacific with theoretical experience and practical techniques. Also Mongolia has plen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ross the country...
[학술논문]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분석
...‘발굴과 수집’, ‘평가와 등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남한과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차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였다. 최근 이런 변화는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으로 ‘개성역사유적지구(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가 등재되기에 앞서 제시된 유네스코의 권고사항과 현재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서 처해 있는 북한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치판단이 개입되고 있으며,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원상대로 보존’은 남한의 ‘원형유지’와...
[학위논문] 統治理念과 文化遺産政策의 變動에 관한 硏究 : 中國과 北韓을 中心으로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related to the cultural heritage policies of both countries can be viewed as a great accomplish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build a system capable of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policies of China and North Korea,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Korea's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