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시진핑 집권기 대북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2012-2019 - 정치지도자의 국내정치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갈등과 우호의 극적인 변화가 두드러졌던 시진핑 집권기(2012∼2019년)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요인을 정치지도자 시진핑의 국내정치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북한과 공개 비방을 주고받을 정도로 갈등을 겪었던 시진핑 집권 1기의 대북정책은 집권 2기에 접어들어 약 1년 3개월 동안 5차례의 정상회담을 진행할 정도로 우호적으로 변화하였다. 종래 학계는 시진핑 집권기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요인을 미·중 관계, 중국의 對한반도 영향력 확대, 중국의 국가정체성 변경 등으로 설명해왔다. 그러나 시진핑 집권기의 대북정책 변화가 워낙 극적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변화를 일관성 있게 설명하는 것은 상당한 난제로 여겨졌다.
본 논문은 종래 학계에서 대북정책 결정요인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진핑 #중국의 대북정책 #북중관계 #정치지도자 #당 대 당 외교 #북핵문제 #북한문제 #승리연합 #엘리트 청중비용 #Xi Jinping #China’s North Korea Policy #North Korea-China relations #political leaders #party-to-party diplomacy #North Korean nuclear issue #North Korean issue #winning coalition #elite audience cost #习近平 #中国的对朝政策 #中朝关係 #政治领导人 #黨对黨外交 #朝核问题 #北朝鲜问题 #获勝联盟 #精英观众成本 #한주희
[학술논문] The Effect of Domestic Political Structures on Nuclear-Weapon Policy : North Korea and Iran
...the set of people who can play a role in selecting the leader, and the winning coalition, the subset of the selectorate whose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leader to stay in power. Based on this theory, we argue that North Korea has the low ratio of the winning coalition to the selectorate and the small size of the winning coalition that allow the Kim leaders to consistently seek their own interests through...
[학술논문] 김정일 정권 승자연합의 변동과 안정성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Jong-il’s winning coalition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regime’s stability fluctuations. Through employment of the selectorate theory, the dictatorship is seen as a delicate equilibrium between rewards and control between the dictator and his winning coalition. The research identifies three distinct phases in the evolution of the Kim Jong-il regime’s winning coalition: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