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ate Ideology and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orth Korea’s Print Media
북한의 언어정책은 김일성의 주도로 60년 넘게 체계적이고 성공적으로 진행돼 왔다. 언어정책의 통일성과 그 규모로 볼 때 북한은 세계 언어정책 역사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다. 이 연구는 북한 언어정책의 이런 성공에 북한 언론의 역할이 크다고 보고, 특히 북한 신문이 언어 정책 및 언어에 관한 사상을 지면을 통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전달했는지를 비판적 담화분석과 코퍼스를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는 1998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간된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의 네 가지 신문으로부터 구축된 코퍼스 자료에서 '언어'라는 단어를 검색했을 때 신문기사가 어떤 주제를 전달하는 지를 범주화했다. 분석 결과, 검색어 ‘언어’와 관련해서 ‘단일민족-단일언어 사상’이
[학술논문] 북한 국어 교과서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경애하는’을 중심으로 -
...educational meaning. I acquired North Korean KLA textbook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converted it to text corpus(hwp file) using Hangul program, and converted it to text file on compu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North Korean KLA textbooks corpus’ using AntConc3.2.4w, I found the following in formation. (1) One of the most frequent and meaningful words is “kyeong-...
[학술논문] 북한 구어 말뭉치의 전사와 주석
...establishment related to a corpus of spoken language in North Korea. Comparing with South Korean corpus, North Korean corpus of spoken language stays around 1 percent, so it should focus on quantitative securing for now. It is difficult to secure qualitative balance because of several practical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design corpus guidance itself generally by differing with a corpus of written language...
[학술논문]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descendants is understood to constitute one of the roots of the linguistic radicalism of the social DPRK's first formative years. Such possibility may be confirm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PRK’s early language policies and Soviet-Korean language experiments, which demonstrate significant similari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influence not only on status, but also on the corpus of Korean.
[학술논문] 코퍼스 기반 남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공시적 분석
This paper aims to analyze English vocabulary in the latest secondary school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synchronically, using corpus linguistics. To perform the study, six English textbooks of North Korea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08 have been constructed as corpora. All the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in North Korea, and those that correspond to the same grade levels in South Korea w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