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토' 이론 연구
... 1922)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어형태론(
2005)에서 자리토 중 격토 및 도움토를 토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토가 문맥과 언어행위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한다는 데에서 형태중시 기능문법적 서술을 보였다. 그리고 맺음토, 이음토, 꾸밈토, 규정토는 ‘형태-구조적’ 기술을 선행한 후에 개별 토의 의미·기능을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조선어형태론(
2005)은 토의 상세한 서술과 분석을 통해서 문법범주 연구를 체계 서술로 제한하지 않고 언어행위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조선어형태론(
2005)에서 맺음토는 식범주와 법범주가 하나로 합쳐져 법범주가 되는데 의미중시 기능문법의 서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