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7~18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도성 수비체제 이해의 방향
이 논문은 조선후기 도성 수비체제의 정비가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연계되어 전개되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 중반 명나라 멸망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명의 잔존 세력의 저항과 몽골의 갈단, 러시아 세력의 대두로 인해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 계속되었다. 동아시아 정세에 대응하여 조선은 도성 주변에 성곽을 축조하고 군사력을 정비하는 등 국방체제를 정비하였다. 18세기 초 일시적인 국제정세 안정에 따라 도성 방어체제 강화의 움직임은 줄어들었으나 준가르 세력의 대두로 인해 다시금 도성 수비체제 강화가 모색되었다. 아울러 조선의 도성수비체제는 한성의 도시발달과 연계되어 진전되었다.
[학술논문]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 사찰의 역할과 운영을 중심으로
...위치와 역할, 운영 등을 비롯해 그것의 위상과 불교사적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북한산성이 갖는 중요성과 함께 승군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보인다. 산성의 방위를 위해 승군이 주둔한 승영사찰은 3군영三軍營의 담당구역 내에 건축된 3대문大門‧3소문小門‧7암문暗門‧중성重城의 인근에 위치하여 대부분 성곽의 수비를 담당했다. 훈련도감訓鍊都監 소속의 상운사‧서암사‧진국사 등은 북문北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북쪽을, 금위영禁衛營 소속의 보국사‧보광사‧용암사‧태고사 등은 대동문大東門(현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원각사‧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학술논문] 남한지역 高麗時代 城郭 築城과 年號銘 기와의 聯關性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성곽의 활용문제를 밝혀줄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年號銘 기와는 평기와의 편년 설정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따라서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현 남북한의 상황에서 고려시대 성곽의 축조 및 활용문제를 전반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한지역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年號銘 기와의 성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남한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연호명 기와는 ‘峻豊四年’(광종 14년:963), ‘乾德三年’(광종 16년:965), ‘太平興國七年·八年’(성종 1·2년:982·983), ‘大平八年’(현종...
[학술논문]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19세기말 이후 고구려고고학의 연구동향을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895년~1945년)에는 일본인이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고분과 성곽 등 새로운 자료의 획득을 중심으로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2기(1946년~1973년)에는 북한과 중국 현지인에 의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과 봉토분의 구조형식과 편년 등 연구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제 3기(1974년~1994년)는 중국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의 기원과 구조형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과 성곽 등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건축및 유물 등으로 연구가 확대되었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제에 대한 개설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4기(1995년~2014년)에는...
[학술논문]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북한의 연구동향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떠한 주제에 어떠한 점이 부족한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분야가 어디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2,000년 이후 북한에서 발표된 발해유적 관련 글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 총론,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발해 살림집유적, ㉣발해 24개돌유적, ㉤발해 유물, ㉥발해 교통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주제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주제가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관련 논문이었다. 발굴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발굴내용이 주로 상경성, 서고성, 팔련성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유적 일부를 점유하고 있고, 발굴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주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