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약용(丁若鏞)과 손문(孫文)의 토지개혁론 비교연구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 실학사상가로서 이름을 떨친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과 중국 민국초기 개혁 정치가인 손문(孫文, 1866∼1925)의 토지개혁론(田制改革論)에 대한 비교 논문이다.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부동산 문제라 불리는 토지분배의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지가 일부 계층에 편중됨에 따라 각 국가의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사회적 비용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국가가 토지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토지에 대한 공공성과 형평성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해석과 이를 뒷받침할 근거를 발굴하고자 한다. 이렇듯 본 연구는 정약용과 손문이 제시한 토지개혁론이 서로 다른 역사와 체제 속에서도 토지에 대한 서로 유사한 공공성과 분배의 정의에...
[학술논문] 五臺山史庫本 實錄의 還收에 관하여
...되었다. 이외 국내 유력자, 북한의 朝鮮佛敎徒聯盟과 在日本居留民團의 협조가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오대산본 『朝鮮實錄』 환수의 마무리 단계에서 몇 가지 문제가 노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문제의 단초는 서울대학교가 『朝鮮實錄』을 “返還”이 아닌 “寄贈”받은 것에서 기인된다. 오대산본 『朝鮮實錄』의 귀환은 조선시대 마지막 관리자였던 月精寺가 당사자로 나서서 ‘법정소송’을 불사하고, 동경대학을 압박한 것이 주효한 것이었다. 동경대학은 ‘일본 지성을 대표하는 기관’에서 ‘문화재 약탈자’로 지목되어 법정에 선다는 것에 부담감을 가졌던 것이다. 이에 실록의 약탈을 자인하지 않을 수 없는 궁지에 몰린 동경대학은...
[학술논문]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주요 건축물은 김일성광장을 중심으로 본평양과 동평양을 연결하는 동~서 방향으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지하철 건설과 함께 대성산 남서쪽 산록에 혁명열사릉, 금수산의사당과 만경대혁명사적관이 세워지고, 1980년대 개선문, 주체사상탑이 세워지면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도시의 중심 축은 일제 강점기에 형성되었던 동~서축에서 벗어나 조선시대 평양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북 방향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대성산혁명열사릉과 금수산의사당이 도시 공간의 중심을 이루고, 이곳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만경대구역의 김일성 생가로 이어지게 한 것이다. 혁명열사릉과 금수산태양궁전의 입지 설명에서 풍수지리가 언급되는 것은 백두 혈통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평양시를 사회주의...
[학술논문] 인조 舊 長陵의 위치비정과 석물에 관한 고찰
조선시대 왕릉은 북한에 있는 제릉과 후릉을 포함해 모두 42릉, 2묘(연산군, 광해군)로 정치, 경제, 풍수, 문화적 여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이 중 추존왕릉을 제외하고 천릉을 한 왕릉은 세종, 선조, 인조, 효종, 정조, 순조의 여섯 임금이 해당된다. 그러나 이 중 왕의 구릉지인 초장지를 확인한 임금은 정조가 유일하다. 세종의 英陵과 효종의 寧陵에 후대의 왕인 순조의 仁陵과 영조 元陵의 능역이 조성된 것처럼 구릉 역시도 왕릉과 동일하게 관리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왕의 초장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는 조선 초기 세종과 장경왕후의 예에서 볼 때 구석물을 인근의 屛處에 묻어 두었고, 중기 이후에는 석물의 재사용을 해 왔기 때문에 그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인조 長陵의 경우는 인렬왕후가 1635년...
[학술논문] 가족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연구 주제의 개척 가능성을 타진해볼 것이다. 지난 시기의 성과를 간략히 정리해보면 첫째, 가족사회학 분야는 1970년대 전반까지 완만한 성장을 보이다 1970년대 후반 이후부터 양적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면서,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시기별 부침(浮沈)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까지는 가족기능, 전통적 친족제도 및 동족, 가족계획, 신라‧고려‧조선시대 가족 등을 주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는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학적 논의, 가족주의, 성과 사랑, 부부중심적 가족관계의 특성, 주부의 삶에 대한 관심, 계급별 가족 특성, 가족문제 및 가족정책, 사회구조와 가족과의 관계 및 가족의 변화양상, 가족이론 및 방법론, 그리고 북한가족 등이 새롭게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연구 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