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식민주의에 대응한 생활문화-초상사진-
...있다. 아울러 일제가 메이지시대 ‘국가가족주의’를 내걸고 천황일가의 사진을 보급하던 관행이 대한제국의 황실
가족
사진 보급으로 이어졌는데, 이 역시 독립된 국민국가에서 대통령의
가족
사진을 제작해 일반인에 공개하며 국민을 가족의 일원으로 소환하는 정치기술로 답습되었다. 이런 국가적 정치기술은 일제시대 이래 일반인의 가정에서 조상이나 가장의 초상사진을 대청마루에 게시하는 방식으로 전해졌고, 국가지도자
가족의
사진을 보급하는 관행도 식민지에서 뿐 아니라 독립 이후의 가정에서
가족
사진을 촬영해 게시하는 풍속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처럼 조상이나 가장의 초상사진이나
가족
사진을 벽에 거는 관습은 근대기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근대식민주의에 반응하는 양식으로서 이어져 내려오며 정착한 생활문화였다. 여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