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선택과 배제를 통해 아이들의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반공을 국민정체성으로 받아들이게끔 이끌었던 것이다. 전시의 임시 교과서를 배우는 아이들은 아무 의심 없이 자신을 반공투사로 정립했다. 이렇게 내면화된 반공 국민정체성은 분단시대의 독재정권을 떠받친 강력한 힘이었다. 문단 일각의 아동문학 작가·시인들이 반공문학에 앞장섰던 이유는 전후 아동문단의 재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과서 정전(正典)의 위력은 막강했다. 교과서의 반공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강소천, 김영일 등은 단박에 아동문단의 중심부로 진입했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후 아동문단의 새로운 주류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한국전쟁기의 반공 아동문학은 국가시책에 호응해서 문단의 주도권을 장악한 세력에게 보증수표와도 같은 의미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