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舊) 동독 종교교육의 변화와 과제;그리고 시사점
...맛본 독일로 시선을 돌리게 되었다. 특별히 마르크스 사회주의 체제에서 기독교신앙과 거리를 두었던 동독지역의 사람들이 통일 후 기독교신앙을 회복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만일 어려움이 있다면 왜 그리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
개신교연합(EKD)은 통일 후
개신교 그리스도인의 수의 증가를 기대했다. 왜냐하면 구 동독지역이 종교개혁의 중심이지자 구 소련의 지배에 들어가기전까지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가지고 있었던 지역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통일 후
개신교 그리스도인의 증가는 그리 많지 않았고;오히려 무종교인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구 동독 주민들;특히 젊은 세대의 비종교성 현상이 두드러졌다. 물론 비종교성의 현상은 동독지역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세부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동독지역의 비종교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