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영향 요인 분석 : 7년 패널조사를 중심으로(2001년~2007년)
...STATA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다중공선성 검정(Multicollinearity Test), 콕스 헤저드 모형(Cox Hazard model),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고정
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고정
효과
모형으로 인해 탈락되는 독립변인의 추정을 위해 확률효과모형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평균 근로소득의 정(定)적인 영향 요인은 성별, 연령 제곱, 종교(여성), 북한 학력, 당원 경험, 제3국 체류기간, 자격증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