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학교 교실에 대한 미시적 연구: 고프먼(E. Goffman)의 연극적 접근(Dramaturgical Approach)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사회학자
고프먼의 연극학적 접근에서 발전시킨 주요 개념인 대면상호작용, 체면, 팀, 무대, 인상관리, 상황(사건) 등을 활용하여 미시적 사회공간인 북한의 교실을 다루고 있다. 교실을 무대로 담임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담임교사가 학급간부인 학급반장과 초급단체비서를 선출하는 상황(사건)에 주목하였다. 이 사건을 통해 담임교사는 앞으로 자신의 경제생활을 책임질 열성학부모와 관계를 맺게 된다. 학급간부라는 자리를 매개로 담임교사-간부학부모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담임교사는 자신의 경제생활을 후원하는 열성학부모 뿐만 아니라 각종 학교행정을 도와줄 충성스런 학생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학급반장과 초급단체비서가 수행한다. 따라서 담임교사에게 있어 학급간부 선정은 자신의 경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