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45-1950년 속초·양양지역의 공산체제형성 - 개인 만들기와 배제·포섭을 중심으로
해방 후 북한지역은
공산
체제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속초, 양양지역도
공산
체제의 이식이 시작되었다.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부터 혁명적인 농민조합이 발달해 있었다. 이들은 해방이 되자 적극적인 공산주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의 활동과 더불어 북한은 말단 지역까지공산체제를 형성할 수 있었다. 북한이 체제형성을 위해 정초해야 할 것은
공산
체제에 적응할수 있는 개인 만들기와 주민의 포섭과 배제 즉 주민통제였다. 북한의 개인 만들기 작업은
공산
체제의 규율권력을 내면화하는 것이었다. 규율권력에 해당하는 교양사업, 자아비판, 상과벌, 근면성과 모범, 선전활동 등을 통해 북한은 체제에 적합한 개인을 만들고 품행(품성과 행위)을 주도하였다.
공산
체제의 형성을 위한 또 하나의 작업은 체제에 대한 적과 동지를 구별하는 것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