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딜레마 - 한중수교 30년의 평가 -
...충돌한다는 점에서 한중관계도 국내정치와 세계정치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슈가 있다. 첫째, 한미 안보동맹은 한반도와 동북아시아를 세력권 아래에 두고 있는 중국의 우려를 확대해 왔다. 둘째, 북한 핵 문제의 해법을 둘러싼 접근법의 차이가 있다. 셋째, 글로벌 가치사슬과 공급망의 성격이 더욱 복잡해졌고 국제무역에서 보다 중요성을 띠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치의 거리에 기초한 상호불신의 증가는 한중관계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한·중 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준칙을 수립할 필요가 있디. 첫째,
공진(co-evolution)이다. 둘째, 새로운 사고이다. 셋째, 트리플 윈(triple wins)이다. 넷째,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복합적 사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