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국가불법 청산대상에 관한 고찰 -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 경험을 바탕으로 -
..., 강제노역, 정치범 수용소 내 인권 유린, 사상・신앙 자유 억압 등이 청산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그러한 종류의 국가불법 대상을 대한민국의 포괄적
과거사청산 경험과 개별적
과거사청산 경험으로 어떻게 선정할지를 논증한다. 그리고 남북한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이 통일합의의 당사자가 되어 대등한 입장에서 새로운 통일헌법질서를 형성하는 경우, 정치적・이념적 이유에서 비롯된 불법을 제외한 위법한 공권력 행사나 자의적인 권력 남용, 남북한 및 통일합의 당사자가 참여한 국제조약에 위반된 행위가 청산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국가불법 청산문제는 단순히 예상가능한 경우의 수를 강학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넘어, 통일 후 공동체가 직면할 현실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그 청산대상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