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읽어낸다. 동시에 귀환자의 노년을 ‘역사적 외로움’으로 명명하며, 동지의 연쇄적 부재, 건강과 생계의 취약성, 자기검열이 남기는 침묵을 구체적인 생활 단서로 제시한다. 이 책의 미덕은 판결문과 연표가 말하지 못한 삶의 속도를 회복하는 데 있다. 사건의 클라이맥스보다 긴 일상, 영웅 서사보다 작은 하루의 문장들—주거, 의료, 관계망, 세대 대화가 모여 한 인간의 존엄을 다시 세운다. 결국 저자가 묻는 것은 정치적 기념이 아니라 권리다. 호명의 순간이 아니라 퇴장 이후의 삶을 제도는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독자는 마지막 장을 덮은 뒤, ‘우리는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지워왔는가?’라는 질문 앞에 서게 된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
...
[사회/문화]
.../>
이 책은 저자들이 수년 동안 연구해왔던 탈북민의 심리ㆍ사회적 통합이라는 주제의 맥을 잇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다. 저자들은 남한주민들과 탈북주민들이 만나 상호작용하면서 무엇인가 이중적이라고 느끼는 것은 공ㆍ사적 관계의 범위와 각 관계에서의 행위코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경험적 자료 분석을 통해서 이 책은 북한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망의 크기와 범위, 공ㆍ사적 관계에서의 의사소통과 감정표현, 공적맥락에서의 의사소통 방식 등을 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표면적으로는 이중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위 뒤에 면면히 흐르는 사고와 행위의 일관성과 의미를 발견했다.
탈북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에서의 특성과 그 관계 속에서의 행위양식를 이해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고와 행위의 의미를 이해할...
[학술논문] 환동해지역의 민족(Ethnic) 경제 - 관계망과 제도화 중심으로 -
...기업가가 되는 과정, 즉 민족경제의 형성은 중층적인 구조적 설명이 가능한데 거시․제도적 요인과 미시 요인인 개인 행위뿐만 아니라 중범위 요인인 사회·경제적 관계망은 민족성이 사회적 자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사회·문화적 과정은 경제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필수적이나 이들이 필연적으로 결정적이지는 않다. 도시에서 민족장소의 출현은 민족정체성을 강화한다. 환동해 지역의 민족경제는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오사카의 쓰루하시 조선인시장은 모국과 현지제도와 문화에 영향을 받아왔다. 조선인들은 모국 고향과의 관계망도 유지되어 왔다. 최근 한류 등으로 한국문화나 음식이 인기를 끌면서 한식, 음반, 드라마 등 문화 산업화와 확산에 성공을 거두었다. 중국인들도 이 시장에 진출해 민족경제의...
[학술논문] 환동해지역의 항구와 해상관계망 형성 : 항만 제도 및 전략적 관점에서
...지원을 추진하는 선별적인 해상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해상 관계망도 이 관계망이 형성될 수 있는 여러 경로 중에 초기에 어느 특정 경로를 선택해 관계망이 형성되면 더욱 그러한 경로로 관계망이 확대, 강화되어 형성되는 경로의 관성이나타나고 있다. 동북아 국가의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항만 육성, 지방정부의 행정적·경제적측면에서 인센티브 등의 지원은 환동해권에서의 해상관계망 형성에 신규 투자나 정책의 중첩여부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본 서안의 경우, 다수의 항구가 경쟁 관계에 있으므로 한국의 동해안에 비해 견고한 해상관계망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국제정치적 측면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은 해상관계망에 단절을 가져오거나 부정적인영향을...
[학술논문] 신 러시아-북한 관계발전에 관한 고찰: 푸틴과 김정은 체제를 중심으로
...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양국 간 관계발전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새로운 시각에서 시도하고자 한다. 푸틴-김정은 체제에서의 양국 간 관계발전은 농업과 IT 등 다양한 분야와 극동지역의 여러 지역 (아무르, 연해주, 사할린, 하바롭스크 등)에서 적극적이고 역동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러시아-북한 간 관계발전은 양국 접경지역에서 새로운 ‘관계망(네트워크)’ 형성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양자관계와 인근 국가들과의 다자관계 발전을 새로운 차원에서 선도하려는 양국의 노력으로 파악되어 질 수도 있다. 즉, 러시아와 북한 간 관계발전은 극동지역 등 양국 접경지역의 ‘전략적’ 공간을 ‘연결’과 ‘실천’의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학술논문] Eurasian Initiative and Strengthening Goryeoin’s Capacity & Networks
...직업교육을 차별화하는 것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더구나 기술교육의 내용에 대한 검증이 없고 국내 노동시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않아 이에 대한 정책적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한국에 이주한 고려인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지만, 향후 이들이 거주하거나 왕래를 하는 러시아나 중앙아시아의 현지고려인사회와 연계한 사회적‧경제적 영향도 주요 연구 관심사가 될 것이다. 한국과 해당 고려인거주 국가와의 수교 이후 어떤 교류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향후 보다 진전된 관계망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도 아울러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문화 교류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한국의 고려인 사회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현지고려인 사회와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향후 주요 연구방향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데탕트 시대의 “냉각지대”: 북한 외교정책의 이념과 한계(1966~1976)
...본격적으로 대외관계에 적용하였다. 북한은 대외정책은 국내정치와국제정치의 상호 작용 속에서 ‘안에서 밖으로’의 외연화 전략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국제정치의 압력을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지만 국내정치요인을 절대적으로 우선함으로써 위계를 구분하였다. 실제로 북한은1970년대 데탕트 흐름에 맞추어 자본주의 국가와 제3세계 국가들과 외교관계망을 확대함으로써 대외정책을 신축적으로 조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의 자주외교의 핵심 전략은 반미반제투쟁의전개에 있었다. 미소·미중 데탕트로 인한 국제적인 긴장완화 분위기에도미국과의 관계 개선은 김일성 유일지배체계의 기반을 흔들 수 있는 것이었기에 북한은 반미반제투쟁의 입장을 철회하지 않았다. 데탕트 이후에도 북한의 대미 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