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국민의 향수와 고향의 의미 - 중국 선양(瀋陽), 단둥(丹東) 지역을 중심으로 -
...선양과 단둥은 1992년 한중수교를 전후한 시기에
이주가 시작되어 20여년이라는짧은
이주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과 거리가 가까워 언제든 왕래가 가능하나 중국이 이민수용국이 아니기 때문에 고국에 언젠가는 돌아가야 한다는 사회
구조적 조건이 존재한다. 또한 고구려 및 항일 유적지가 가까이 있고 조선족, 북한사람들과 마주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재중한국인들은 남한에서는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 장소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생긴다. 그 결과 재중한국인들에게는 개척자적 향수, 성찰적 향수,
구조적․복원적 향수의 형태가 나타난다. 개척자적 향수는 혹독한 과거를 오늘날 성공의 기원으로 회상하는 것이며, 성찰적 향수는 과거가 현재의 핵심으로 되살아나는 것이며,
구조적․복원적 향수는 상실한 옛 고향과 조국의 표상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