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후 조선 화교들의 북한 사회 정착 과정
한반도 해방 직후 북한에 거주하던 화교의 수는 6만여 명이었고,
국공
내전이 진행되던 당시에도 초기에 화교들이 모국으로 생각했던 것은 중화민국이었다. 하지만 북한에 소련군이 진주하고, 동북지역과 거리가 인접했던 이유로 화교들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영향력은 강화되었다. 특히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과 북조선화교연합회의 구성은 화교들의 성향을 변화시켰다. 북조선화교연합회는 화교들에게 사상교육, 북한 정부의 정책 선전 등을 진행했고, 북한 정부에게는 화교들이 조선인민들과 동등한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화교연합회는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 김일성과 북조선인민위원회 산하 각 기관에 전문을 보내 북한에서 진행되는 경제적, 사회적 사업에서 화교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고, 북한 정부도 이들이 사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