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서울 소재 ‘적산요정’ 개방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 1946∼1947년 제1·2차 개방을 중심으로 -
...해외 귀환자와 월남민 등이 남한지역으로 짧은 기간 안에 유입되어 각종 민생문제가 악화되었다. 그 가운데 특히 서울은 1945∼1946년 현재 대략 110만 명의 총인구 가운데 무려 23∼26만 명이 유입되었을 정도로 남한지역에서도 가장 극심한 인구증가를경험하였기 때문에 그로 인한 주택난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이러한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 주택을 공급해야만 했지만재정난과 자재난으로 인해 주택 건설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따라서 해방 후 서울에서 돌아간 약 15∼16만 명에 달하는 일본인들이 소유하였던 가옥과 점포 등 귀속부동산을 적절히 활용하지 않으면 이 문제는 도저히 해결할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통칭 ‘戰災民’이라고 불리던 해외귀환자와 월남민들은...
[학술논문] 사할린한인 귀환문제에 대한 전후 일본정부의 대응
...사할린 한인 등 1952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체결로 일본국적을 상실한 ‘비일본인’을 일본영토에서 추방하거나(북송사업) 새로 들이지 않겠다는 차별의식의 결과로서, 이것은 1960-1970년대 일본정부의 정책 방침을 규정하는 토양이 되었다. 1965년 한일조약 체결 후 한국정부가 또 다른 외교교섭 주체로 등장하자 일본정부는 ‘귀환자의 한국정착 보장과 한국정부의 귀환비용 부담’을 전제로 소련과 한인의 귀환문제를 교섭하겠다고 밝혔다. 이것은 1972년 의회질의에 대한 다나카 수상의 답변서로 공식화되어 향후 일본정부의 기본방침으로 확립되었다. 다나카 내각은 양국 간 외상회담과 정상회담 등을 통해 적극적인 대소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결국 실패로 끝났다. 주된 이유는 소련정부가 북한과의...
[학술논문]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전후 강제동원 피해의 범위와 보상논리 변화
...직후부터 한일청구권협정을 거쳐, 민간청구권보상체제가 성립되어 보상을 이룬 1970년대까지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해방 직후 미군정은 식민지기 원호회를 해산하면서 강제동원 피해자의 원호금을 일정 정도로 보상했다. 이후 1948년 한국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부 스스로가 1949년 인구총조사를 실시하면서, 징용, 징병, 미귀환, 사망 등도 함께 조사했다. 한편, 귀환자들 사이에서도 스스로 징용, 징병에 의한 미수금, 사망, 부상 등 피해사실을 조사하여 국회와 정부에 보상을 요구했다. 그리고 미귀환의 문제, 유골봉환 등의 문제를 일본정부에 진정할 것을 요구했다. 한국정부 역시 그들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한일청구권협정 준비를 해나갔다. 한국정부는 1952년 이승만 정권에 의해 피징용자 사망 및 부상자 조사, 1958년에는...
[학술논문]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 지평: 역사적 소수자의 미래지향적 재현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라는 외적인 변화가 한반도 근·현대사의 내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배제되거나 소홀히 여겼던 중국동포, 고려사람, 재일조선인, 북한이탈주민을 한반도 근·현대사의 역사적 소수자로 명명하고, 역사적 소수자의 존재 의미, 경험의 유산, 관련 지식 등을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내용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문화교육 측면에서 역사적 소수자의 존재 의의를 정당화 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재현을 논의함으로써 한국 다문화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새 지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술논문] 재조일본인 노동자 이소가야 스에지(磯谷季次)의 체험을 통해 본 8.15와 귀환의 기억
...비극’으로 느꼈다. 여러 저술들 속에서 드러나는 귀환의 잔혹한 체험을 둘러싼 이소가야의 인식을 보면, 그가 노동운동이나 공산주의운동에 참여했던 사상적 배경의 기초에 강한 휴머니즘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귀환 활동을 주도한 과정과 전후의 문필활동에서도 이 휴머니즘이 강력하게 발휘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재조일본인 귀환자들이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바뀐 듯이 현실을 인식하게 되었던 것, 일본 군국주의와 무모한 전쟁에는 반대하면서도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의 역사는 반성하지 않는 것에 대해 꼬집어서 비판하고 있다. 38도선 이북의 함흥에서 8.15 직후 조선사회의 혼란을 경험하고 똑 같이 ‘탈출’이라는 고난의 경로를 거쳐 귀환한 이소가야 스에지의 경우, 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