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
...육정산고분군 등발해 유적의 발굴보고서가 발간되면서, 발해 기와의 종합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우선 남·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의 발해 기와의 연구 성과를 시기별로 검토해 보았으며, 앞으로의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발해 기와의 연구는 대략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1930~40년대)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가 주도되어 기와의 문양과 형태 등을 검토하였으며, 연구 토대가 마련되어 학사적 의미를 둘 수 있는 시기이다. 2기(1950~70년대)는 조·중공동발굴대에 의해 중국 동북지역의 광범위한 발굴이 이루어진 시기로평기와에 시문된 압인, 문자 등을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3기(1980~90년대)는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북한과 중국, 남한과 러시아의...
[학술논문] ‘이미’와 ‘아직’의 변증법 - 말소리의 감각과 통합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은상은 입말의 특징을 살려 시조를 지었다. 그의 시조는 문학 텍스트로 출판되었고 가곡으로 만들어져 널리 불렸으며 현재 남북한 시선집에 가장 많이 등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면 노래가 제거된 시의 역사가 근대시의 역사라는 생각이 허구적 가설이라는 생각에 동의하게 된다. 문자 중심의 서술을 통해 문학적 근대에 대한 관념이 ‘이미’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음성 언어의 특징이 우리문학에 끼치는 영향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보면 문학적 근대에 대한 내포는 ‘아직’ 형성 중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은상 시조의 말소리, 청각의 감각이 전근대/근대/탈근대에 대한 강박적 인식을 넘어서는 하나의 매개이자 이후 통일문학사를 구상하는 한 경로가 될 수 있다는 가설...
[학술논문]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해방 직후부터 2000년대까지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연구의 시작이었다. 그 후 국어사에 천착하고 그 연구와 연계하여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국어학사의 시각에서 훈민정음을 이해하고 연구한 경향도 드러났다. 또한 문자학의 관점에서 훈민정음 문자를 연구한 특징도 포착되었다. 향후 이러한 성과가 남한의 훈민정음 연구 성과와도 유기적으로 공유되어 한국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의 띄어쓰기에 대한 고찰 - 어문 규범과 국어‧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되면 글을 자주 끊어 읽어야 한다. 따라서 독서 능률을 높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읽기 상황에서 여러 단위로 끊겨 발음되어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여 『조선말규범집』(1966)에 ‘띄어쓰기’가 별도의 항목으로 포함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띄어쓰기는 ‘하나의 대상으로 붙여지는 덩이’를 단위로 붙여 쓰는 방향으로, 불완전 명사는 앞의 단위에 붙여 쓰는 것으로 규정된다. 즉 단어를 좀 더 붙여 씀으로써 독서 능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후 어문 규범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나, 수 관련 띄어쓰기를 제외하고 불완전 명사(단위 명사 포함), 보조 용언, 명사 연결체 등은 모두 앞말과 붙여 쓰도록 규정하고 있다. 띄어쓰기는 문자 언어상의...
[학술논문] 동아시아의 문자 교류와 논어 - 한반도 논어 목간을 중심으로 -
이 글은 필자가 직접 조사한 인천 계양산성, 김해 봉황동 출토 논어목간, 평양 정백동 364호분 출토 죽간에 관한 연구성과 및 발표에 이르기까지 공동연구자와 협력한 경위를 구체적으로 논한 것이다. 이를 통해 출토문자자료는 다각적인 협동작업을 필수로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먼저 계양산성과 김해 봉황동 출토 논어목간의 경우, 다각형의 길이가 1미터 이상에 이르는 목간에 생략없이 공야장편이 기록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한 발 앞서 공유한 것이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또한 두 논어목간이 신라국토의 서북쪽(당)과 동남쪽(일본) 바다와 접한 변경에서 출토되었다는 공통점에 착목하여, 그 독특한 형태와 입지를 통해 변경관아에 신라 덕치주의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시각 목간으로서 다루어졌다고 추측하였다. 이러한 신라사회 내에서...